-
수소화분해 기술로 탄생한 베이스 오일 엔진오일 제조 과정과 종류엔진오일 물성 2025. 1. 30. 22:53
수소화분해 기술은 현대 엔진오일 제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기술을 통해 고품질의 베이스 오일이 생산되며, 이는 엔진오일의 성능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소화분해 기술로 탄생한 베이스 오일의 특징과 엔진오일의 제조 과정, 그리고 다양한 종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수소화분해 기술이란?
수소화분해(Hydrocracking) 기술은 원유의 무거운 탄화수소를 고온, 고압에서 수소와 반응시켜 분자 구조를 재배열하는 정제 공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불순물이 제거되고, 원하는 특성의 경질 탄화수소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베이스 오일 생산 시 수소화분해를 통해 높은 순도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베이스 오일의 역할과 중요성
베이스 오일은 엔진오일의 주성분으로, 전체 구성의 약 80~90%를 차지합니다. 베이스 오일의 품질은 엔진오일의 윤활성, 열안정성, 산화안정성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고품질의 베이스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엔진의 성능과 수명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엔진오일 제조 과정
- 원유 정제: 원유를 감압증류하여 감압 가스 오일(VGO)을 추출합니다.
- 수첨 탈황: VGO를 수첨 탈황 공정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왁스유를 얻습니다.
- 수소화분해: 왁스유를 수소화분해하여 분자 구조를 재배열하고, 고품질의 베이스 오일을 생산합니다.
- 첨가제 혼합: 생산된 베이스 오일에 산화방지제, 청정제, 점도지수 향상제 등 다양한 첨가제를 혼합하여 최종 엔진오일 제품을 완성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산된 엔진오일은 우수한 윤활성과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엔진오일의 종류
엔진오일은 사용된 베이스 오일의 종류와 제조 공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그룹 I: 용제 추출과 수소처리 공정을 거친 기유로, 황 함량이 0.03%를 초과하고 점도지수는 80~120입니다.
- 그룹 II: 용제 추출 없이 수소처리 공정을 통해 생산되며, 황 함량이 0.03% 이하이고 점도지수는 80~120입니다.
- 그룹 III: 수소첨가분해 공정을 통해 생산된 고도 정제 기유로, 황 함량이 0.03% 이하이며 점도지수는 120 이상입니다.
- 그룹 IV: 폴리알파올레핀(PAO)으로 알려진 합성 기유입니다.
- 그룹 V: 에스테르 등 기타 합성 기유로 분류됩니다.
그룹 III 이상의 베이스 오일은 일반적으로 합성유로 분류되며, 우수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수소화분해 기술을 통해 생산된 고품질의 베이스 오일은 엔진오일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엔진의 효율성과 수명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자동차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엔진오일 물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진 예열 시간 단축 효과 합성유가 가져다주는 엔진 튜닝의 진실 (0) 2025.01.31 점도등급으로 균형 잡기 엔진보호 vs 연비 개선 최적의 엔진오일 선택 (0) 2025.01.30 연비 절감 효과를 노린 노후 차량용 엔진오일 선택 가이드 (0) 2025.01.11 카본 축적 상태를 진단하는 엔진오일 색깔 내 엔진 건강 체크법 (0) 2025.01.09 오일필터 점검으로 알아보는 엔진오일 교환주기 잘못된 상식과 진실 (0) 2025.01.08